영어의 발음과 발음기호
- Uncategorized
- 2006. 7. 8.
영어의 발음과 발음기호
한국어의 모음은 한가지 문자가 한가지 소리 밖에 가지고 있지 않은 아주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글자이다. 이에 반해서 영어의 모음은 한가지 글자가 여러가지 소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로서는 이 각각의 소리를 외우는 수 밖에는 별 도리가 없다. 그래서 영어는 발음기호라는 것이 있어서 각각의 문자가 단어에서 어떻게 발음된다는 것을 사전에 보이고 있다. 다음에 영어의 발음기호와 그 발음을 적었다. 여기서 ‘발음이 우리나라의 어느발음과 같다’라는 말은 그 발음이 국어의 발음과 비슷하거나 한국인의 귀로는 구별이 불가능하다는 것이지 결코 완전히 같다는 것은 아니다. 사전을 찿을 때 이 기호를 외어서 단어의 철자 뿐 아니라 발음까지도 외우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Ⅰ. 모음과 자음
음성에는 유성음과 무성음이 있다. 목청을 떨며 내는 소리를 「유성음」, 그렇지 아니한 소리를 「무성음」이라고 한다. 유성음 중 혀가 입안의 어느곳에서도 마찰이나 폐쇠됨이 없이 발음되는 것을 「모음」이라 하고, 그밖의 유성음과 모든 무성음을 「자음」이라고 한다. - 무슨 말인지 잘 모를 수도 있을텐대, 쉽게 얘기하면 발음할 때 입모양이 바뀌지 않고 같은 소리를 계속 낼 수 있으면 모음, 입모양이 바뀌면 자음이 되는 것이다.(또한 자음은 입모양을 바꾸지 않고 가만이 있으면 모음의 발음이 난다. 한번 「파」하고 길게 해보라. 아마 끝에 가서는 「아」발음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Ⅱ. 모음(母音)
(1) 순모음(단모음)
순모음은 발음 나는 혀의 위치에 따라 전설모음[i, i:, e, ɛ:, ɛ, æ], 중설모음[a, a:, ɔ, ɔ:, o, o:, u, u:, ʌ ], 후설모음[ə, ə:,ər, ə:r] 등으로 나뉜다. 장모음은 장음부호 [:]로써 표시한다. 참고로 여기서 사용하는 설자는 혀 설(舌)자이다.
① 전설 모음
[i:] 우리 말의 「이」를 길게 내는 소리에 가깝지만 혀의 위치가 약간 높다.
예 : eat[i:t]
[i] 우리 말의 「이」와 비슷하다. 하지만 발음할 때 혀가 입의 중앙부분에 가까이 있어야 한다. 예 : study[stʌdi]
[e] 우리 말의 「에」에 가깝다. 예 : bed[bed]
[ɛ] 우리 나라 사람은 위의 [e] -「에」발음과 구분하기 어렵다.
[ɛ:] [ɛ]의 장음이지만 마찬가지로 구별하기 어려운 발음.(저도 모릅니다.)
[æ] 우리 말의 「애」와 비슷하지만 그것보다 입술을 더 크게 벌리고 발음한다.
예 : marry[mæri]
② 중설 모음
[ə] 혀, 입술을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 두고 입을 조금 벌리면서 약하게 「어」하고 발음한다.
예 : today[tədei]
[ə:] [ə]의 장음이다.
[ər] [ə]음에 [r]음의 여운을 남기면서 발음하는 음. 다소 어려운 발음이다. 영어에서 [r]발음이 흔히 말하는 혀꼬부라지는 소리의 주범이다.
예 : perhaps[pərhæps]
[ə:r][ə]에 [r]음의 여운을 남기면서 길게 발음하는 음.
예: shirt[ʃə:rt]
③ 후설 모음
[a] 입을 그게 벌리고 입안 안쪽에서 「아」하고 약간 짦게 발음한다.
예 : doctor[daktər]
[a:] 입을 크게 벌리고 입안 안쪽에서 「아아」하고 길게 발음한다.
예 : father[fa:ðər]
[ɔ] 우리 말의 「오」와 비슷하다. 그러나 「오」보다 입안 안쪽을 넓히고 입술을 둥글고 크에 벌려서 발음하되 [a]에 가까운 음이다.
예 : college[cɔlidʒ]
[ɔ:] [ɔ]보다는 약간 혀를 올리고 입술도 좀 좁혀서 길게 발음한다.
예 : all[ɔ:l]
[o] 우리 말의 「오」발음과 같다.
[o:] 「오오」하고 길게 발음하는 것이다.
[u] 우리 말의 「우」에 가깝지만 이 보다는 더 입술을 좁게 오므리고 발음한다.
예 : book[buk]
[u:] 위의 [u]보다는 입안 안쪽으로부터 길게 발음한다.
예 : cool[cu:l]
[ʌ] 우리 말의 「어」에 가깝지만 그 보다는 더 긴장된 상태에서 내는 음. [ə]보다 혀의 위치를 다소 낮추어 발음한다.
예 : under[ʌndər]
(2) 중모음 - 두개 이상의 모음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 앞의 모음을 똑똑히 발음하고 뒷모음은 빨리 발음하여 그 다음 음절과 연결시킨다.(한가지 예만 들겠다.)
예 : [ai] - 우리말의 「아이」발음, 그러나 같지는 않다.
five[faiv], sky[skai]
Ⅲ. 자음(子音)
자음의 종류에는 크게 파열음, 비음, 마찰음, 파찰음, 그리고 설측음이 있다. 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