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가 좋은 4가지 이유 - 신한금융투자 제공 메일을 확인하던 중에 유용한 정보가 와서 올려봅니다. 신한금융투자에서 보낸 뉴스레터인데 ETF가 좋은 4가지 이유와 사례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군요. 저도 개인적으로 ETF에는 가끔 투자를 하고있는데.. 아무래도 적은 금액으로 1주 씩 매수가 가능하다는 매리트가 있습니다. 아울러 단일 종목이 아닌 산업군에 투자를 하기에 리스크도 적습니다. 레버리지나 인버스는 증권사의 정책에 동의하는 문서 작성 후 통화를 해야 거래가 가능합니다. 최근에 이렇게 변경된 듯 하더군요. 그외의 ETF는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합니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저축한다고 생각하면서 투자를 하면 될 듯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관련 정보 사이트 - http://twr.kr/..
장기적인 안목으로 ETF에 투자를 고려해서..개별종목은 가치주 위주로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소량 매수를 하고 전체적으로 ETF에 골골루 분산 투자를 해서 노후까지 생각하면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코스피2200 일때는 당연히 주가가 상승장이여서 수익이 좋았는데... 100포인트 차이가 큰가 봅니다. 지금은 전체적으로 많이 내려갔네요. 하락장일 때 아래 표를 보시면 대충 어느 지수가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알수 있습니다. 레버리지는 당연히 2배로 하락하니 이해는 하겠는데... 금융주가 하락장일 때 하락폭이 큰가보네요. 역으로 하락장일 때 소비재가 올라가는가 봅니다. 하락장일 때는 인버스를 매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네요. 주가를 지켜 볼 수없는 직장인인지라... 인버스로 매꾸고 자시구 할 겨를이 없군요....
묻지마 투자를 하게된 이엔쓰리 2011년 02월 28일에 묻지마로 온세텔레콤과 이엔쓰리 주식을 샀습니다. kmi 테마주 뉴스를 보고 샀죠.. 지금 어느 정도 주식강의를 듣고 이엔쓰리 주식을 분석해보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더군요.. 지금와서 보니 어떻게 이런 회사의 주식을 제가 살 수 있었는지.... 주식을 매수하고 나서 계속 하락을 하다가.. 금일 상승을 하더군요.. 어설프게 저가매수는 알고있던지라... KMI 테마주중에 가장 낮은 금액 주식을 매수한 것이죠.. 현재 수익률입니다. 공부한다고 크게 투자를 안해서 그런지.. 주가가 오르던 내리던 별 감흥은 없었습니다. 이 날 매수를 했었습니다. 아무런 분석없이 뉴스와 그래프 그리고 낮은 주가에 무턱대고 매수를 했습니다. 몇 년째 영업이익이 마이너스입니다..
신한금융투자 CMA RP 기준금리가 인상되었네요. 타사 보다 좀 낮은 감이 있었는데... 기준금리가 올라갔네요. 아래 공지 참고하세요.. 저 같은 경우는 신한금융투자와 하나대투에 증권계좌를 만들었었는데.. 하나대투는 수수료가 저렴하다고하여 만들고 싶지 않는데 만든 것입니다.. - 싸이월드 주식관련 클럽에서 시삽이 추천해서 만들게되었져 하지만.. 주거래를 신한금융투자로 하고 있어서 그런지 하나대투는 애착이 안가서 지금은 신한금융투자만 사용합니다. 무엇보다 하나대투는 CMA에서 주식을 살려고 하면 따로 증권계좌로 또 이체를 해야하는데.. 신한금융은 바로 주식을 살 수 있어서 하나대투를 이용안하게되는 것 같습니다. 주식을 자주 사고 팔 것이 아니라면 궂이 수수료에 연연할 필요가 없을 듯 합니다. 주식은 투자이..
신한금융투자 안드로이드 어플 리뷰입니다. 신한금융투자의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은 마켓에서 바로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합니다. 공인인증서가 휴대폰에 있어야 이용이 가능하겠죠. 공인인증서는 PC의 것을 SD카드로 바로 복사해도 사용이 가능하긴 하지만 보안에 안 좋다고하니.. http://www.goodi.com/customer/pds/mobile_smart.html 이 페이지를 참고하셔서 공인인증서 설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다른 은행 어플 설치하면서 이미 SD카드에 공인인증서를 설치해서 인증서 설치과정은 없었습니다. 어플을 사용해본 결과 전체적으로 이 어플을 가지고 주식거래를 하기에는 아직은 이른 것 같습니다. 주식이란게 하나의 기업에 투자를 하는 것인데... 네트워크 환경변수가 많은 ..
동부하이텍 기사가 떴네요.. 대충 스토리르 보면 10년간 적자였는데.... 기지개를 펼 시기마다 경제위기로 그렇지 못했다는군요. 동부그룹의 차세대 신성장동력인듯하니 관심을 가져봐도 좋을 듯 합니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말이죠.. 관련기사입니다. http://news.donga.com/It/New/3/08/20110227/35174312/1